내시경 귀수술은 외이도에 내시경을 삽입해 귀질환을 치료하는 ‘최소침습수술’로 기존의 현미경 수술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2017년 ‘신의료기술’로 고시되었고(“신의료기술 제2017-159호 내시경 귀수술”), 이에 따라 점차 내시경 귀수술을 시행하는 병원이 늘어나고 있다.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의 심의결과 만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진주종, 전도성 및 혼합성 난청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있는 기술로 고시되었고, 외림프누공의 경우 문헌검토 상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할 근거가 부족하여 연구단계기술로 심의되었다. 최근 고시에서 명시한 대상 질환이외에도 기존 현미경을 이용한 중이염 수술이나 두개저 수술에 내시경을 활용한 사례가 늘고 있다.
그림 1. 현미경과 내시경의 수술시야 비교. 현미경(microscopic view)은 좁은 외이도로 인해 시야가 제한되는 반면, 내시경(endoscopic view)은 외이도로 진입한 후 수술 부위에 가깝게 다가가 광각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음. 만약 현미경의 수술 시야가 좁은 경우 시야 확보를 위해 추가적인 후이개 피부절개가 필요하므로 내시경 귀수술은 비침습적인 수술접근법을 제공함.
그림 출처: 메디컬 일러스트 그리닥
내시경 귀수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endoscope, light source, high-resolution digital camera & monitor system, endoscopic ear surgery instrument 가 필요하다.
Endoscope은 각도에 따라 0º, 30º, 45º, 70º 내시경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0º와 30º 내시경을 주로 이용한다. 내시경의 직경은 2.7mm, 3.0mm, 4mm의 내시경이 있으며, 내시경의 직경이 커질수록 해상도가 좋아지지만, 외이도가 좁은 경우 수술도구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길이는 6cm, 11cm, 14cm, 18cm의 제품이 있으며, 6cm의 경우 수술 시 working space 확보가 어려워 잘 사용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3mm 직경의 14cm 길이의 내시경을 선호한다.
그림 2. 여러가지 종류의 내시경
내시경에 사용되는 light source는 Xenon, LED, Halogen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Xenon의 경우 40%, LED의 경우 30%의 밝기로 사용한다. Tsukasa Ito 등의 문헌1에 따르면, Xenon에서 100%의 밝기로 4mm 직경의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 중이 내 온도가 44.1ºC까지 상승하였다고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와 모니터 시스템을 사용하면 정밀한 상을 얻을 수 있으나, 기존의 full HD 해상도의 내시경으로도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기존 현미경 수술에서 사용하는 micro-instrument만 이용하여 내시경 귀수술이 가능하지만, 한 손은 내시경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만 수술해야 하기 때문에 suction을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시경 귀수술에 특화된 micro-instrument들이 고안되었고, 기존 현미경에서 사용하는 micro-instrument에 suction hole을 만들고, suction adapter를 연결하여 dissection과 suction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suction power를 control할 수 있는 hole을 따로 만들고, suction adapter는 몸체가 회전을 하도록 고안되어 한손으로 기구를 돌려도 line이 꼬이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Panetti Endoscopic Instrument Set, Storz Endoscopic Ear Surgery Set 등 다양한 내시경 귀수술용 수술도구가 제공되고 있으며, 필자의 경우 suction elevator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그림 3. 내시경 귀수술용 수술도구 중 suction elevator와 suction adaptor. Elevator의 직경은 2.0mm와 2.5mm 두 종류가 있으며, suction hole이 내면에 있는것과 외면에 있는 것이 있음. 주로 flap elevation시 사용함.
수술실 셋팅은 병원마다 다를 수 있으며, 술자가 모니터를 마주 보면서 수술을 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게 좋다. 수술 간호사는 보통 술자 옆에서 assist하며, suction line은 2개를 준비하여, 하나는 needle suction, 다른 하나는 내시경 귀수술용 instrument를 연결해서 사용한다. 내시경에 묻은 이물질을 닦을 수 있도록 wet-gauze와 anti-fog를 내시경 가까이 준비하고, 내시경을 잡은 팔은 겨드랑이에 붙이고 팔꿈치는 팔걸이에, 내시경은 외이도 후벽에 고정해서 화면이 흔들리지 않게 수술을 시행한다.
그림 4. 수술실 셋팅
내시경 귀수술은 현미경 수술에 비해 더 좋은 수술 시야 및 접근성을 제공하고, 현미경에 비해 저렴하게 장비를 세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 있던 endoscope과 micro-instrument를 이용하여 간단한 내시경 귀수술을 시작할 수 있으며, ventilation tube insertion, myringoplasty, ossiculoplasty 등은 국소마취 하에 시행할 수 있어 개원가에서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