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W-ENTIan August 2020 W-ENTIan August 2020

COVID-19 vs. 계절성 독감 순천향대학교부속천안병원 류광희

류광희

‘A perfect storm’1

2020년 6월 Science에 발표된 editorial의 제목이다. 앞으로 몇 달 안에 COVID-19와 influenza의 완벽한 폭풍이 발생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준비를 시작하여야 한다는 내용이며,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COVID-19의 대유행이 여름에는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지금까지도 전세계적으로 확진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날씨가 추워지면 그 확산세는 더 강해질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남반구에서는 이제 막 계절성 독감의 시즌이 시작되었으므로 올해 말 북반구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지금까지 COVID-19와 influenza virus의 상호작용(동시 감염이 질병을 악화시키거나 virus 유출을 증폭시키는 등)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하지만 두 질환의 증상이 매우 유사하고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는 점이 같기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는 이 두가지를 감별하는데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influenza vaccine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이제는 모두 알다시피 COVID-19는 계절성 독감보다 훨씬 치명률이 높으며 전파 또한 빠르다. 독감이 확인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면 되지만, 독감 환자를 COVID-19에 걸린 것 처럼 잘못 치료하는 것은 매우 낭비적이고 잠재적으로 해로울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감별진단이 필요하다.2 두가지 질환의 co-infection에 대해서는 보고된 연구에 따라 그 비율의 차이가 있다. 인구의 3-4% 정도가 COVID-19에 감염되었다면, 약 10-20% 정도는 influenza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중복감염이 생길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다.3 하지만 우한에서 COVID-19로 입원한 환자 중 11.8%에서 influenza A 또는 influenza B가 확인되었다.4 Influenza vaccine이 COVID-19를 예방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연관관계는 아직 찾을 수 없으나 기존의 연구에서 influenza vaccine이 다른 호흡기 감염도 함께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5 또한 미국에서 65세 이상 influenza vaccine을 시행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COVID-19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vaccine을 시행한 주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6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손씻기 등으로 인해 2020년 초반의 아시아 국가들에서 influenza 발생이 다른 season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항을 보였다 <그림1>.7 8 이는 기타 호흡기 관련 감염질환이 감소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그림1. 일본의 연도별 influenza 유행 곡선. X-축의 week 1은 WHO에서 우한에서 원인불명의 폐렴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한 날(2019/12/31)>8

환자의 증상으로 COVID-19와 계절성 독감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게다가 COVID-19의 경우 발열, 근육통, 두통, 미각 또는 후각 소실, 인후통, 피로, 콧물,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 매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최근 발표된 ‘Modeling the onset of symptoms of COVID-19’라는 논문에서는 각국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증상 발현순서를 분석하였다.9 COVID-19 뿐만 아니라 influenza, MERS, SARS의 증상을 비교하였으며, COVID-19 및 MERS와 SARS는 발열이 먼저 발생하고 influenza의 경우 기침이나 근육통이 먼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림2>. 해당 연구자들은 COVID-19와 계절성 독감이 혼재하는 시기에 증상의 차이로 진단 및 격리 치료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림2. COVID-19 (발열, 기침, 인후통/두통/근육통, 메스꺼움/구토, 설사) 및 influenza (기침/근육통, 두통, 인후통, 발열, 설사/메스꺼움/구토)의 증상 발현 순서>9

COVID-19 vaccine이 개발된다면 마찬가지겠지만, influenza vaccine 공급에 대한 격차를 해결하는 것은 세계적인 문제이다. 미국에서는 성인 절반 미만이 vaccine을 맞으며, 2018-2019 season에는 약 45%가 접종한 것으로 집계되었지만, 인종 및 지역에 따른 상당한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10 Influenza 예방접종을 통하여 추가적인 호흡기 감염을 감소시킴으로써 질병 부담 및 의료시스템의 부담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COVID-19 pandamic 상황에서 influenza vaccine은 적극적으로 권고되어야 할 것이며, 지속적인 개인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2020-2021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은 생후 6개월부터 만18세, 임신부, 만 62세 이상을 대상으로 4가백신 접종을 시행하며, 시행 기간은 해당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 Belongia EA, Osterholm MT. COVID-19 and flu, a perfect storm. Science 2020;368:1163.
  • Singer BD. COVID-19 and the next influenza season. Sci Adv 2020;6:eabd0086.
  • Rubin R. What Happens When COVID-19 Collides With Flu Season? Jama 2020.
  • Yu C, Zhang Z, Guo Y, et al. Lopinavir/ritonavir is associated with pneumonia resolution in COVID-19 patients with influenza coinfection: A retrospective matched-pair cohort study. J Med Virol 2020.
  • Wolff GG. Influenza vaccination and respiratory virus interference among Department of Defense personnel during the 2017-2018 influenza season. Vaccine 2020;38:350-4.
  • Zanettini C, Omar M, Dinalankara W, et al. Influenza Vaccination and COVID19 Mortality in the USA. medRxiv 2020.
  • Chan KS, Liang FW, Tang HJ, et al. Collateral benefits on other respiratory infections during fighting COVID-19. Med Clin (Barc) 2020.
  • Sakamoto H, Ishikane M, Ueda P. Seasonal Influenza Activity During the SARS-CoV-2 Outbreak in Japan. Jama 2020;323:1969-71.
  • Larsen JR, Martin MR, Martin JD, et al. Modeling the Onset of Symptoms of COVID-19. Frontiers in Public Health 2020;8.
  • Grohskopf LA, Liburd LC, Redfield RR. Addressing Influenza Vaccination Dispar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ama 2020.
댓글쓰기
entcjs

(2020-09-09 11:39) 수정 삭제 답글
(04385)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67, 파크타워 103동 307호 (용산동5가 24)

Copyright © by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