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성대는 발성, 호흡, 그리고 연하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 기관이다. 성대 마비나 노화로 인한 성대 위축, 또는 기타 병리적 상태는 이러한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대 주입술이 필요한 주요 질환으로는 한쪽 성대마비, 성대의 노화로 인한 위축성 변화, 성대의 구조적 손상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질환들은 성문 폐쇄부전으로 인해 음성 장애뿐 아니라 호흡 및 연하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성대 주입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침습적 또는 최소침습적 치료법으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성문 폐쇄부전을 개선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이 시술은 음성의 개선, 기도 보호, 그리고 연하 기능의 회복에 있어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외래 환경에서도 시술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측성 성대마비시 경제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치료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준비물
성대 주입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하다. 내시경 장비는 성대를 정확히 관찰하고 주입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필수적이다. 주입용 주사기는 25~27게이지 바늘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주입물질의 점도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선택해야 한다. 주입 물질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히알루론산, 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HA), 지방 등으로 준비된다. 국소마취제는 리도카인 스프레이나 젤 형태로 제공되며, 필요시 주사 형태로도 준비된다. 초음파 장비는 경피적 접근법에서 바늘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소독제, 멸균 드레이프 등이 필요하다. 준비물이 충분하고 적절히 정리되어 있어야 시술 중 혼란을 방지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주입물질의 종류와 특성
성대 주입술에서 사용되는 주입물질은 크게 생체물질과 합성물질로 나뉜다.
생체물질에는 연골, 지방, 근막 등이 포함된다. 연골은 안정적인 부피를 유지하고 장기적으로 효과를 제공하지만, 채취와 준비 과정이 복잡하며 주입을 위해 더 큰 바늘이 필요할 수 있다. 지방은 자가 조직을 사용하여 면역 반응을 줄이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율이 높아 추가 주입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다. 근막은 장기적인 효과를 제공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부피를 유지하지만 주입 과정에서 추가적인 시술이 필요하다.
합성물질로는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칼슘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Calciumhydroxyapatite:CaHA),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PDMS) 등이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물질로 성대의 모양을 유지하고 고유의 점탄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내에 짧은 지속시간을 가지지만 주입이 간단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잘못된 곳에 주입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분해될 가능성이 있고 분해효소(hyalunoidase)로 녹일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 CaHA는 장기적 효과와 안정성을 제공하며, FDA 승인을 받은 물질로 특히 성대 주입술에 적합하다. PDMS는 비흡수성 물질로 장기간 효과를 보장하나, 부작용 발생 시 제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조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탄소 나노튜브 기반 하이드로젤과 같은 신소재가 개발되어 성대 조직과 유사한 점탄성을 가지며 주입 후 이동성이 적은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물질들은 기존 주입물질의 한계를 보완하며, 앞으로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국소마취
성대 주입술에서 국소마취는 시술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다. 마취의 주된 목표는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성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시술 중 환자의 협조를 유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소마취제는 리도카인으로, 시행하며 굴곡형 후두내시경을 이용할 경우 4% 리도카인 비강패킹을 통해 비강점막 마취를 시행한다. 경피적 접근법일 경우 피부에 베타딘 소독 후 2% 리도카인으로 부분마취 시행한다. 스프레이 형태의 리도카인은 구강과 후두 부위에 직접 분사하여 빠른 마취 효과를 제공하며, 주사 형태는 성대 근처에 4% 리도카인을 직접 주입 후 기침을 유발하여 리도카인이 분사되어 깊은 마취를 가능하게 한다. 국소마취는 내시경 삽입 전에 시행되며,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과 불편감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마취 과정에서 환자의 민감한 반응을 관찰하여 필요한 경우 마취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전신마취는 복잡한 시술이거나 환자의 협조가 어려운 경우에만 사용되며, 전신마취 과정 중에는 환자의 산소 포화도와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Fig.1)
경구 접근법
일반적인 경구 접근법은 구강, 인두, 후두를 점막 마취 후 강직형 혹은 굴곡형 후두내시경하에 성대를 직접 관찰하며 구강을 통해 성대 상연에 직접 주입물질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성대주입을 위해 Xomed사의 굴곡형 성대주사기(curved oro-tracheal laryngeal injector)를 이용하여 성대에 주입한다.(Fig 2) 이 방법은 주사바늘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할 수 있어 성대의 특정 부위에 정밀하게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경피적 접근법은 경윤상갑상막 접근법, 경갑상연골 접근법, 경갑상설골막 접근법이 있다.
경피주입 접근법
경윤상갑상막 접근법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방법으로 환자를 앉히고 경부를 약간 신전 후 국소마취하에 비강에 4% 리도카인 점막마취를 한 후 굴곡형 후두내시경하에 윤상갑상막을 통해 약간 구부린 25게이지 바늘을 윤상갑상막 정준선에서 병변 쪽으로 약 3-5mm 측면으로 바늘을 삽입한다.(Fig 3) 모니터를 통해 바늘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성대 인대 하에 바늘이 있음을 확인 후 물질을 주입한다. 성대 피열연골의 성대돌기 측면과 성대 중간지점 두 군데 주입을 한다. 성대의 레인케 공간에 주입할 경우 점막파동이 줄어 음성의 질이 낮아지므로 주의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약간 과교정이 필요하다. 점막하 주입이 출혈이나 후두 자극으로 인한 기침이 발생하지 않아 선호되나 만약 후두점막을 뚫은 경우 출혈로 인한 기도자극으로 기침 등이 발생하므로 다시 마취 후 시도하는 것이 추천된다.
경갑상연골 접근법
성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갑상연골을 통해 접근하는 방법으로 23 혹은 25게이지의 바늘을 성대의 앞쪽 주입에 용이하다. 그러나 갑상연골을 바늘로 관통해야 하므로 연골의 골화가 진행된 노인의 경우 선호되지 않는다.
경갑상설골막 접근법
갑상설골막으로 접근하여 후두 점막을 뚫고 바늘의 끝을 보면서 원하는 부위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25게이지 바늘을 보면서 원하는 부위로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바늘이 노출되므로 후두 마취가 중요하다.
주입시 고려할 사항
성대 주입술의 핵심은 주입물질을 성대 내에 정확하고 균등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먼저 주사바늘의 선택은 주입물질의 점도와 성대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25 게이지 바늘이 사용되며, 점도가 높은 물질의 경우 더 굵은 바늘이 필요할 수 있다. 성대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내시경으로 확인하나 필요시 초음파로도 가능하다. 주입 과정에서는 바늘을 천천히 삽입하고 주입물질을 소량씩 전달하며, 실시간으로 성대의 부피 변화를 관찰한다. 이 과정에서 성대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입량을 신중히 조정해야 한다. 주입이 완료되면 내시경을 통해 성대의 형태와 성문 폐쇄 상태를 재확인한다. 주입 후 물질이 성대에 고르게 분포되었는지 확인하고, 주입물질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추가 조정을 실시한다. 시술 도중 환자가 발성을 시도하도록 하여 성대의 기능적 변화를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다. 주입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이나 염증 반응은 즉시 관리하며, 필요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한다.
술기 후 관리
시술 직후 호흡곤란이나 과민반응 등이 발생할 수 있어 30분 정도 외래에서 경과 관찰하고 시술 후 환자는 24시간 동안 음성 휴식을 유지하도록 권장되며 음성휴식은 주입물질이 성대 조직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시간을 제공한다. 과주입된 경우 주입 후 며칠간 음성의 질이 안 좋을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설명하도록 한다. 시술 시 문제가 없었다면 항생제,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처방은 필요 없다. 음주나 흡연을 피해야 하며, 이러한 습관은 회복을 지연시키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추후 내시경 검사를 통해 주입물질의 위치와 효과를 평가하며, 필요시 추가 주입을 고려할 수 있다. 환자가 음성 개선을 체감하지 못하거나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경미한 염증 반응은 자연적으로 해결되지만, 심각한 경우 항생제나 추가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결론
성대 주입술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성문 폐쇄부전으로 인한 음성 장애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공적인 시술을 위해서는 환자 상태에 맞춘 맞춤형 접근, 정확한 주입 기술, 적절한 사전 준비와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주입물질의 개선과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통해 치료 결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 문헌
1. CS Kim,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2;65(8):431-6. Vocal Fold Augmentation: Current Review
2. SY Lee, YH Park,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2;55:334-45. Office-Based Laryngoesophageal Procedure
3. TK Kwon, Korean J Otolaryngol 2006;49:768-80. Injection laryngoplasty
Fig.1
Fig.2
Fig.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