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이비인후과학회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두경부와 관련된 질환

삼킴장애

삼킴장애는 입에서 위장으로 음식물, 침 등이 통과하는데 장애를 받는 느낌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런 삼킴장애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생길 수 있으나 이들 중 대부분은 일시적이며 위험하지 않습니다. 다만 드물게 종양이나 진행성의 신경학적인 질환들과 같은 심각한 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있으므로 삼킴장애의 증상이 짧은 기간 내에 호전되지 않고 지속된다면 반드시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진찰과 필요한 검사를 해야만 합니다.

삼킴의 기전
삼킴에는 4 단계가 있습니다.
첫째, 구강내에서 준비하는 단계로 삼킴이 일어나기 전 음식물을 씹고 분쇄하는 단계이며, 둘째, 구강단계로 혀가 음식물을 구강의 뒤쪽으로 밀어 넣어 삼킴이 시작되는 단계입니다. 셋째, 인두단계로 음식물이 인두를 통해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서 식도까지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넷째, 식도단계는 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위장으로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단계는 어느 정도 의식적인 조절이 가능하지만 세번째와 네번째 단계는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삼킴장애의 원인
삼킴과정이 멈추게 되면 삼킴장애를 느끼게 되며 이런 삼킴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치아의 이상이나 잘 맞지 않는 보철물이나 목감기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위식도역류증 (위산이 식도와 인두로 역류하는 질환) 에 의해서도 삼킴장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뇌졸중, 진행성의 신경질환, 성대마비, 구강이나 인두, 식도의 종양, 두경부의 수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삼킴장애의 증상
침을 흘리거나, 음식물이 목구멍에 달라 붙어있는 느낌, 가슴이나 목구멍의 불쾌감, 목구멍에 이물질이 걸려 있는 듯한 느낌, 장기간의 삼킴장애로 인한 영양부족과 체중의 감소, 음식물을 삼킬 때 사래가 들리는 증상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단
삼킴장애가 지속적이고 이유가 분명하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이비인후과 의사의 진찰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비인후과 의사는 먼저 자세한 병력의 청취와 함께 혀, 구강, 목, 후두 부위의 진찰을 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내과 전문의에 의뢰하여 식도와 위장, 십이지장에 대한 내시경 검사를 받도록 하게 됩니다.
검진결과에 따라서 위장관 조영술이나 경부 전산화 단층촬영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아울러 신경학적인 질환들을 감별하기 위하여 필요할 경우 신경과 전문의에게 의뢰하여 신경학적인 진찰과 함께 뇌 전산화 단층촬영 또는 뇌 자기공명영상 같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치료
일단 원인이 밝혀지고 나면 원인에 따르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일시적인 경우는 대부분 삼킴장애를 일으킨 원인들 (치아이상, 구강이나 인두의 염증과 이에 따른 통증 등) 이 해결되고 나면 삼킴장애는 없어지게 됩니다.
위식도 역류증에 의한 삼킴장애의 경우는 약물치료 (위산분비억제제, 제산제, 위장관 운동 촉진제 등)와 함께 생활습관의 개선이 유용한데 음식을 소량 자주 먹는 것, 술과 커피를 삼가는 것, 체중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 취침 시 머리를 높이고 자는 것 등이 해당됩니다.삼킴장애가 뇌졸중, 진행성의 신경질환, 성대마비 등의 신경학적인 질환들에 의한 경우나 구강이나 인두의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이후 발생한 경우는 많은 경우 삼킴장애만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전문가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삼킴치료를 받는 것인데 이것은 환자에게 맞는 적정한 종류의 음식물을 선정해 주고 아울러 삼킴운동에 관여하는 근육들과 신경들을 자극하여 삼킴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돕고 사래가 들리는 것을 막는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삼킴장애가 구강이나 인두, 식도 등의 종양이나 협착에 의해 음식물의 통과를 막고 있어 발생한 경우는 수술 등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치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 전체 방문자 수 : 3,396,308명
  • 금일 방문자 수 : 394명
(04385)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67, 파크타워
103동 307호 (용산동5가 24)

Copyright © by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ll rights reserved.